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번에 작성했던 엘리엇 파동이론에 대해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I. 엘리엇 파동 이론이란?
- 엘리엇 파동에 들어가며...
- 엘리엇 파동
- 엘리엇 파동의 절대 법칙과 수치
- 실제 차트에서의 엘리엇 파동
II. 조정 파동
2-1 지그재그 -535 ABC
2-2 플랫 - 335 ABC
2-3 삼각수렴
III. 연장 - 다이어고날
지난번 글에서 엘리엇 파동은 상승5파와 하락3파로 구성이 되며, 상승5파 중에서 2,4, 하락3파는 조정 파동이라고 이야기 했었습니다. 엘리엇 파동 5파중 1.3.5 파동의 소파동은 작은 엘리엇 파동 5파동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조정 부분은 5파동이 아닌 3파동으로 만들어집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도 지그재그 패턴인 535 ABC에 대해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지그재그 패턴의 다음과 같이 생긴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처럼 저렇게 완벽하게 잘 보이진 않지만, 예시 처럼 임펄스 파동의 5파와 3파 인펄스 5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조정 부분에서 많이 보이는 패턴이며 마이너한 파동이 임펄스로 이루어져 있다보니, 임펄스의 1파~3파인지 조정 구간의 535 ABC인지를 앞에 파동과 연결하여 구분해야 합니다.
535 ABC(지그재그)의 비율과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A파와 C파는 임펄스의 모양을 가진 5파동을 가진다.
2. B파는 A파의 시작지점을 넘지 않는다.
3. C파의 크기는 A파와 같은 1:1비율, 1.618, 0.618의 비율로 많이 나타난다.
4. B파는 조정파이다.
5. C파는 거의 대부분 A파의 마지막 지점보다 낮게 끝난다.
이제 실제 차트 안에서 지그재그 패턴으로 보이는 부분을 정리하고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파랑색 B파의 부분의 노란색 파동은 다음에 정리할 플랫-335 파동의 모습입니다.

위에 차트와 아래의 차트는 다른 종목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가상화폐 코인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돌토큰 클레이스왑 시세 변경과 방법 (0) | 2021.12.11 |
---|---|
[차트분석] 엘리엇 파동 이론 [#3] 조정 파동 (플랫 - 335 ABC) (1) | 2021.11.27 |
[차트분석] 엘리엇 파동 이론 [#1] 엘리엇 파동이란? (2) | 2021.11.17 |
[매매 원칙] 매매 원칙 점검(진입 근거) (0) | 2021.11.14 |
[레이디움] NFT 드랍존 Hoag Munk 참가 후기 (0) | 2021.1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