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차트를 분석하고 타점을 잡을 때 주로 사용하고, 계속 공부하고 있는 엘리엇 파동이론에 대해서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앞으로도 이어서 쭉~ 이어서 작성을 하려고 합니다.
글 작성 목차는
I. 엘리엇 파동 이론이란?
- 엘리엇 파동에 들어가며...
- 엘리엇 파동
- 엘리엇 파동의 절대 법칙과 수치
- 실제 차트에서의 엘리엇 파동
II. 조정 파동
2-1 지그재그 -535 ABC
2-2 플랫 - 335 ABC
2-3 삼각수렴
III. 연장 - 다이어고날
정도의 긴 장편이 될 수 도 있겠네요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1. 엘리어트 파동 설명에 들어가며...
- 먼저 엘리어트 파동이란 랠프 넬슨 엘리어트라는 분이 만들었으며, '모든 우주 만물은 자연의 법칙에 의해 일정한 패턴을 가지며, 사람의 행동과 심리도 자연의 법칙을 따라간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전세계의 약 70억명에 인구 속에서 똑같은 사람은 존재하지 않지만 특정 연예인을 좋아하는 그룹, 특정 아이템에 열광하는 그룹, 비슷한 감정을 느끼는 사람들을 통해서 사람들 또한 자연의 법칙을 따가 간다고 생각하고 그 사람들의 행위가 기록되는 주식 차트에 특별한 패턴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출발했다고 합니다.
그럼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엘리어트 파동 패턴에 대해서 한번 살펴볼까요?
엘리엇 파동은 다음과 같은 모습으로 생겼습니다. 크게 상승하는 모습의 충격파(Impulse Wave)와 조정파(Corrective Wave)로 이루어져 있으며, 충격파의 1,3.5파는 더 작은 충격파(Impulse Wave)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조정파는 다음 편에 더 자세히 알아보고, 오늘은 충격파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하려고 합니다. 충격파를 설명하기 쉽도록 임펄스 파동이라고 하겠습니다.
위의 그림의 하얀색 임펄스 파동을 보게 확대하게 되면 이런 그림이 됩니다. 소파동 임펄스 5파가 하얀색의 임펄스 1파가 되는 것이고, ABC 조정파 이후 다시 소파동 임펄스가 하얀색 임펄스의 3파동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렇게 파동은 반복된다는 것이 엘리어트가 이야기한 반복되는 패턴, 자연의 법칙인 것입니다.
2. 엘리어트 파동 절대 법칙과 수치
그럼 이번엔 엘리엇 파동의 절대법칙과 특징, 각 파동의 통계적인 수치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먼저 엘리엇 파동의 절대 법칙을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절대 법칙은 임펄스 파동이면 무조건 지켜져야 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에 어긋나면 임펄스 파동이 아니고 조정파의 가능성이 있거나, 차트에서의 카운팅이 잘못되었을 수 있습니다.
임펄스 절대 법칙
1. 임펄스 파동에서 1파 후 조정파인 2파의 저점이 1파의 점을 깨지 않는다.
2. 임펄스 파동에서 3파는 가장 짧지 않다.
3. 임펄스 파동에서 4파 조정은 1파 고점에 닿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파동은 임펄스 파동이 아닙니다.
노란색의 파동의 경우 1파의 저점보다 2파의 저점이 낮고, 빨간색의 경우, 3파가 가장 짧지 않다는 법칙을 어겼으며, 마지막 파동의 경우, 1파의 고점을 4파의 저점이 닿았습니다. 이런 파동들은 임펄스 파동이 아닙니다.
이번에는 각 파동의 특징들을 정리해볼까 합니다. 이 내용은 절대적이지 않고, 통계적인 이야기입니다. 그러므로 실제 차트에선 맞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통계적으로 그럴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인펄스 각 파동의 특징
1파 : 인펄스 파동의 첫 시작 파동이다. 하락 추세 이후 등장한다.
2파 : 1파 이후의 조정파동이며. 통계적으로 1파 상승분의 0.618%이나 0.382% 정도 하락한다. 단순 조정 ABC가 발생한다.
3파 : 통계적으로 1파의 1.618%이나 2.618%까지 상승한다. 인펄스 파동 중 가장 강하며, 가장 많은 거래량을 동반한다.
4파 : 복합 조정이나, 삼각수렴이 자주 등장하는 조정 파동이다. 통계적으로 3파 크기의 0.382% 또는 0.618% 하락하나 삼각 수렴이 아니라면 1파 고점보다 낮아지면 안 된다.
5파 : 인펄스 파동의 마지막 파동으로 4파 조정 이후, 1~3파 크기의 0.618% 상승하거나 1파와 같은 크기로 상승하는 경우도 있다.
이제 실제 코인 차트에서 찾은 엘리어트 파동 사진을 보여드리고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1파 임펄스 완료 후 2파 조정 자리가 0.382 자리까지 조정 이후 나머지 임펄스 파동을 그렸네요
만약 저 하얀색의 임펄스 파동을 완성하고 ABC 조정을 거친 후 조정을 마무리 한 자리가 하얀색 인펄스 1~5까지 상승한 크기의 0.618 만큼 하락했네요. 만약 이 파동이 파란색 큰 인펄스의 시작이고, 이제 1파 상승 후 2파 조정이 마무리된다면 1 파보다 더욱 크고 강한 상승인 3파가 이후에 나올 수도 있겠네요.
하지만 이런 엘리어트 파동이론에도 단점은 존재합니다.
가장 큰 단점은 파동의 시작 지점에 따라서 분석이 갈릴 수 있으며, 자의적 해석이 많이 개입되어 정확성을 입증하기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100명의 사람들에서 차트에서 엘리엇 파동을 그려보라고 한다면 다 다르게 그릴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다른 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더욱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그러므로 항상 파동 카운팅이 틀릴 수도 있다는 가정을 세우고, 하나의 시나리오가 아닌, 그 시나리오가 아닌 경우 어떻게 흘러가게 될지도 생각해야 합니다.
다음 편에는 이번에 적지 않았던 조정파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가상화폐 코인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트분석] 엘리엇 파동 이론 [#3] 조정 파동 (플랫 - 335 ABC) (1) | 2021.11.27 |
---|---|
[차트분석] 엘리엇 파동 이론 [#2] 조정 파동 (지그재그 - 535 ABC) (4) | 2021.11.24 |
[매매 원칙] 매매 원칙 점검(진입 근거) (0) | 2021.11.14 |
[레이디움] NFT 드랍존 Hoag Munk 참가 후기 (0) | 2021.11.04 |
솔라나 기반 디파이 레이디움 스테이킹 도전 (0) | 2021.10.28 |
댓글